본문 바로가기
함께하는 모금

기부자에게 전화를 건다는 것 – 따뜻한 관계를 설계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

by 성장하는 모모 2025. 4. 15.

📌 왜 기부자에게 전화를 걸어야 하나요?

기부자와의 관계는 기부 직후부터 다시 시작됩니다.
그들이 ‘돈을 보낸 사람’이 아닌
‘기억되고 존중받는 사람’으로 느끼게 하려면,
우리는 더 가까이 다가갈 필요가 있어요.

그리고 가장 인간적인 방법은,
바로 **“전화 한 통”**이에요.

전화 커뮤니케이션으로 기부자와 따뜻한 관계를 맺으세요

 


📞 전화 커뮤니케이션, 단순한 감사가 아니에요

국내외 모금기관에서는 
기부자에게 전화하는 일은 단순한 예의가 아니라
전략적 관계 구축의 핵심 터치포인트로 여겨집니다.


감사 전화 첫 기부 또는 고액기부 이후, 즉시 감사 전송
관계 유지 전화 정기기부 중간점검, 생일·명절 인사 등
전환 유도 전화 단기기부 → 정기기부 전환 제안
피드백 전화 최근 캠페인 만족도, 기부경험 확인 등
참여 요청 전화 행사 초대, 서명 캠페인 등 비금전적 참여 유도

🌍 전화활용 해외의 실제 사례 – UNICEF 캐나다, 옥스퍼드 대학 등

✅ UNICEF 캐나다

  • 기부자별 맞춤 스크립트 사용 (연령, 관심 분야, 기부 패턴 기반)
  • 감사/전환 전문팀 운영 → 정기기부 전환율 상승

✅ University of Oxford (영국)

  • ‘Thank You Calling Week’ 운영
  • 학생들이 졸업생에게 직접 전화해 감사 인사
    재기부율 15% 이상 증가

✅ charity:water (미국)

  • 기부 이후 2주 내 전화를 걸어
    “당신의 기부로 이런 변화가 일어났어요”
    → 기부자 1,000명 중 20%가 자발적 재기부 경험

전화를 통한 기부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은 가장 빠르고, 쉽고, 간편하게 기부자에게 다가갈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전화 커뮤니케이션 설계

✔ 추천 타이밍

첫 기부자 감사 1~3일 내
정기기부 3개월째 유지 감사 + 피드백
기부 후 캠페인 종료 결과 공유 + 변화 전달
명절, 생일 정서적 연결 강화
장기 미참여자 관계 회복을 위한 터치

✔ 기본 스크립트 예시

"○○님, 안녕하세요! 저는 [기관명]의 ○○입니다.  
얼마 전 ○○ 캠페인에 기부해주셔서  
진심으로 감사 인사를 드리고 싶어 연락드렸어요.

기부해주신 덕분에 ○○한 변화가 생겼답니다.  
혹시 그 경험 이후 마음속에 남은 이야기가 있으실까요?

작은 소통이지만, ○○님의 참여가  
우리에게 얼마나 큰 힘이 되었는지 전하고 싶었어요."

🎯 포인트는 정보 전달이 아니라, 감정 연결입니다.


🛠 전화 커뮤니케이션 운영 팁! 

  • CRM에 기록 필수: 통화 일시, 기부자 반응, 관심사
  • 통화 후 메시지 남기기: 연결이 안 되더라도 문자/카톡 남기기
  • 전화 전용 팀 or 캠페인 기간 지정 운영도 고려
    (예: 연말 '감사 주간' 운영)

🎁 성장하는 모모의 한마디

전화는 짧지만, 기억은 오래갑니다.

한 통의 전화가
기부자를 재기부자로,
참여자를 지지자로 바꾸는 시작이 될 수 있어요.

 

사람의 목소리에는
텍스트가 줄 수 없는 신뢰와 온기가 담겨 있어요.
그 따뜻한 연결을, 오늘 한번 시작해보는 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