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모금단체에서 근무를 하면서 모금가로서의 역량과 소양을 높이기 위해서 초창기 모금교육을 이수하였던 경험이 있습니다. 이제는 그런 모금교육보다는 배운 이론과 내용을 실무에 많이 적용해 보는 것이 능력향상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데요. 그래도 이론을 충분히 알고, 실제 사례에 적용하는 것이 유익하다고 생각하기에 오늘은 모금상품의 요소를 알아보고, 이를 실제 적용하여 기부제안서를 어떻게 작성해볼지 살펴보고자 합니다.
모금상품이란 무엇일까?
모금상품은 모금기관의 가치가 실제 들어나 기부자에게 단순히 "기부해주세요."로 기부를 권유하는 것이 아니라 논리적이면서 감성적 흐름을 가지며 기부자가 소비자로서 본인의 소중한 금전을 우리단체에 기부했을 때, 그만한 가치와 명분이 있다는 걸 소개하는 상품입니다. 모금을 기획하는 우리가 제일 어려운 건 시장에서의 재화는 어느정도 수요와 공급에 의한 가격적정성이 이뤄지지만, 우리의 모금상품은 실제 가격을 매기는 것이 매우 어렵고, 난해합니다. 그래서 어떤 기부자가 어떤 상황에 있으냐에 따라 같은 상품처럼 보이지만, 장학금에 1만원을 기부하는 경우도 있고, 1억을 기부하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면 모금상품은 어떻게 구성할 수 있을까요? 첫째, 모금상품의 정의가 필요합니다. 이 정의에는 모금명과 목표모금금액, 그리고 모금이후의 자금운용방향과 실제적인 실행계획 등을 담은 로드맵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모금기관은 우리는 무엇을 위해, 어떻게, 얼마나 모금할 것인지를 고민하게 됩니다. 둘째, 효과입니다. 모금상품에 대해 기부자가 관심을 가지고, 이 상품에 대해 기부하였을 경우 실제 사회에 미칠 긍정적인 영향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모금은 기부자의 자발성을 근거로 하여 기부자의 참여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과정이기 때문에 기부자는 이 과정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특히 고액기부금일 수록 이러한 과정에 대한 세심한 설계가 필요합니다. 셋째, 기부유형과 기부방식에 대한 논의입니다. 우리의 모금상품은 시의적절하게 집행되고, 수혜자에게 지원되어야 그 효과를 발휘할 수 있기에 어떤 시간스케줄을 가지고 진행할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합니다. 기부유형(Type of gifts)에서는 만약 기부자가 현금으로 기부를 한다면 바로 집행하여 지원할 수 있지만, 현금이 아닌 현물, 유언으로 진행한다면 집행에는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준비한 모금상품에 일시적으로 참여하는지, 아니면 매년 정기적으로 참여할지 계속성의 기준에서도 모금기관의 모금상품 유지에 중요한 사항이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에 대해 확인되어야 하고 여기서는 기부자를 어떻게 참여시킬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는 기부자보상체계에 대한 사항에 검토가 필요합니다. 기부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혜택을 설계하고, 단순한 감사를 넘어 기부자가 기부한 것에 대한 기부만족감과 자부심을 느낄 수 있도록 기부자가 어떤 유인(인센티브)을 제공할 것인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참여 기부자에게 감사장이나 기념품 증정, 이벤트 초청, 성과보고서 등의 발송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기획단계에서부터 우리 모금기관의 모금상품의 가치가 기부자가 인정하고, 참여하고 그 참여가 충분한 만족감이 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모금상품을 개발한 후에 기부제안서(Proposal for Gift Solicitation)를 어떻게 작성해 볼 수 있을까요? 기부제안서는 제안개요, 기관소개, 현재상황 및 필요성, 모금상품(프로젝트)개요 및 목적, 기부요청내용, 기부자 혜택, 기부사용계획 및 관리, 마치는 글, 담당자 연락처 등의 요소로 구성됩니다. 제안개요에서는 제안기관, 제안대상, 제안명, 제안일자 등이 들어가고, 기관소개는 기관의 미션, 비전 및 주요활동을 소개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개발한 모금상품이 왜 필요하게 되었는지 이런 모금상품을 개발하게된 배경과 실제 모금상품을 소개하게 됩니다. 그리고 모금상품 개요 및 목적에는 앞서 설명한 모금상품에 대한 자세한 소개가 필요하며, 모금제안서를 받는 기부자를 특정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모금금액도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기부가 이뤄지고 난 후 우리 모금기관에서 제공할 수 있는 기부자 혜택과 기부금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지 먼저 사전에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지막으로는 마치는 글과 담당자 연락처를 작성해야 합니다.
마치면서
모금제안서는 단순히 기부를 요청하는 문서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그래서 제대로 된 모금상품이 개발된 뒤에 기관의 비전과 가치를 담는 모금제안서를 작성하여 설득력 있게 기부자와 소통할 수 있습니다. 잘 준비된 모금제안서를 위해 오늘 우리기관이 가지고 있는 모금상품을 한번 점검해 보는 건 어떠세요?
---
© 2025 모금으로 행복한 순간 | All rights reserved.
실무자를 위한 모금 정보와 경험을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문의: astrachoi14@gmail.com | 블로그: https://happymoment.kr
'모금실무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금담당자에 필요한 역량은 무엇일까-하버드 사례를 중심으로 (0) | 2025.04.27 |
---|---|
5가지로 살펴보는 기부금 유형 (0) | 2025.04.26 |
기부자가 기부를 망설이는 이유 - 차마 말하지 못한 4가지 이야기 (0) | 2025.04.25 |
모금캠페인 메뉴얼 - 리더십과 조직 운영 (0) | 2025.04.24 |
모금캠페인 메뉴얼 - 시작을 알리는 출범식 기획 (0) | 2025.04.23 |
모금캠페인 메뉴얼 - 맞춤 브로슈어 만들기 (0) | 2025.04.22 |
모금캠페인 메뉴얼 - 위원회 운영 전략 (0) | 2025.04.21 |
좋은 모금 조직, 무엇이 다를까요?– CFRE 기준으로 살펴보는 6가지 특징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