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0427

내가 산 그 커피, 누군가의 장학금이 된다면 – 가치 있는 소비와 기부의 만남 ☕ "사지 않아도 되는 걸 굳이 샀다" vs "사는 것으로 누군가를 도왔다"소비는 매일 반복되는 선택이에요.하지만 요즘 사람들은 단지 가격과 품질만으로 선택하지 않아요.특히 MZ세대, 즉 밀레니얼 + Z세대는 이렇게 말합니다.“나는 그 브랜드가 사회적 책임을 다하니까 선택해요.”“같은 제품이라면,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브랜드를 살래요.” 이것이 바로 ‘가치 있는 소비(Ethical Consumption)’,그리고 나아가 **‘기부와 연결된 소비’**입니다.  🌍 가치 있는 소비란?가치 있는 소비란,나의 소비가 단순한 '구매'를 넘어서사회, 환경, 공동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선택을 말해요. 이에는 다음과 같은 소비가 포함됩니다:친환경 제품 선택공정무역 제품 구매사회적 기업 제품 구매수익의 일부를 기.. 2025. 4. 8.
기부자도 ‘경험’한다 – 스타벅스 UX에서 배우는 기부자 여정 설계 ☕️ 스타벅스가 커피만 파는 곳일까요?누군가는 말합니다.“커피는 집에서도 마실 수 있지만, 스타벅스는 경험을 마시는 곳이다.”내 이름이 적힌 컵매장에 들어서자마자 느껴지는 향과 음악사이렌 오더의 편리함과 리워드 앱의 혜택바리스타와의 짧지만 유쾌한 인사 이 모든 것이 **UX(User Experience, 사용자 경험)**입니다.스타벅스는 ‘맛’이 아니라, 경험을 디자인한 브랜드죠.💡 그렇다면, 기부자에게도 UX가 필요하지 않을까요?기부자도 ‘경험’을 합니다.단지 돈을 보내는 사람이 아니라,가치를 느끼고, 공감하며, 관계를 맺는 존재예요. 그렇다면 우리도 기부자를 위한 ‘경험의 흐름’을 설계해야겠죠.이걸 바로 **기부자 여정 설계(Donor Journey Mapping)**라고 합니다.🗺️ 기부자 여정.. 2025. 4. 8.
기부자의 마음을 여는 소통 – 임팩트 평가로 신뢰를 쌓다 💬 기부자, 더 이상 '감사편지'로는 부족합니다“기부자의 만족도를 높이려면,모금기관은 비전과 목표를 명확히 제시하고, 기부자와 활발히 소통해야 한다.”— 2024 ‘기빙코리아’ 심포지엄 기부자는 이제 단순한 후원자가 아닙니다.가치를 공유하고, 변화를 함께 만드는 파트너로 자리 잡고 있어요.그리고 그 파트너십을 지키는 열쇠는 바로 **'소통'**입니다.📊 기부자, ‘내가 만든 변화’를 알고 싶어한다기부자가 요즘 가장 많이 묻는 질문은 이거예요."내가 낸 돈이 어떻게 쓰였나요?""정말 변화가 있었나요?" 이제는 기부자의 기부 행위에 대한 감사의 말 한마디, 기부에 따른 세제혜택인 연말 정산용 영수증만으로는 부족하죠.기부자는 이제 자신의 기부가 만들어낸 사회적 변화,즉 **임팩트(impact)**를 알고 .. 2025. 4. 7.
기부자는 변화를 느끼고 싶다 – 자기효능감에서 시작하는 기부의 심리 🧠 “나는 이 일을 해낼 수 있어” – 자기효능감이란?심리학자 **앨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는 인간의 행동 동기를 설명하면서**‘자기효능감(Self-efficacy)’**이라는 개념을 소개했어요.자기효능감이란**“자신이 특정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믿음”**을 뜻합니다. 예를 들어,“나는 이 프로젝트를 끝낼 수 있어.”“내가 하면 아이에게 도움이 될 거야.”이런 생각이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게 만드는 원동력이죠.   자기 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높은 성과를 보이는 경우가 많아요.💡 기부에서도 자기효능감이 작동합니다기부자가 “내가 도운 일이 정말 효과 있었을까?”라고 느낄 때,그 기부는 반복되지 않습니다.하지만 이렇게 느낀다면요?“내가 낸 기부금이 .. 2025. 4. 7.
2025년 기부 트렌드와 한국 기부금의 흐름 –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을까? 📊 2023년, 한국 기부금은 어디까지 왔을까?2023년 한 해 동안, 한국에서 기부된 총액은 약 16조 원으로, 전년도보다 9천억 원이 증가했습니다. 특히 개인 기부의 꾸준한 증가가 두드러지며, 반면 기업 기부는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주요 수치 정리구분금액 (2023년 기준)증감전체 기부금액약 16조 원▲ 0.9조 원개인 기부금약 11.5조 원▲ 0.8조 원기업 기부금약 4.5조 원실질 감소 (물가 상승 반영 시)🎯 포인트: 팬데믹 이후에도 개인의 기부는 늘고, 기업은 신중해졌습니다.🌍 세계 기부 지수(World Giving Index) 2023에서 본 글로벌 기부 동향**Charities Aid Foundation(CAF)**에서 발표한 세계 기부 지수 2023에 따르면,.. 2025. 4. 6.
🔖대학기부와 효과적인 필란트로피 – 지속 가능한 공익의 전략 🎓 대학기부, 단순한 기부를 넘어선 전략적 공익 실현대학에 기부한다는 건 어떤 의미일까요?일회성 후원이 아니라, 미래 세대를 위한 공익적 투자입니다.그리고 이 과정을 통해 실현되는 것이 바로 **“효과적인 필란트로피(Effective Philanthropy)”**입니다.오늘은 대학기부가 왜 필란트로피의 대표적 사례가 되는지,그리고 ‘효과적인’ 필란트로피란 어떤 것인지 함께 살펴보려 해요.   💡 필란트로피란 무엇인가?‘Philanthropy’는 ‘인류애(Philo + Anthropos)’에서 출발한 개념으로,현대에서는 공익을 위해 자발적으로 나누고 참여하는 활동 전반을 의미합니다.하지만 이제는 단순히 주는 것이 아니라,✅ 문제를 정의하고✅ 전략을 세우고✅ 지속 가능하게 사회에 영향을 주는효과 중심의 .. 2025.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