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모금실무노트38

모금캠페인 메뉴얼 - 맞춤 브로슈어 만들기 모금캠페인 브로슈어 제작 시 유의사항과 구성 요소, e-Book 확장 전략까지 소개합니다. 기부자의 공감을 이끌고 참여를 유도하는 감성 중심의 브로슈어 제작 가이드를 담고 있습니다.들어가며모금캠페인 브로슈어 제작의 핵심 요소를 소개합니다. 캠페인 메시지, 참여 안내, 기부자 공감 포인트와 함께, 디지털 시대의 e-book 브로슈어 활용 전략도 함께 다룹니다.들어가며모금캠페인을 본격적으로 시작할 때, 브로슈어는 단순한 종이 한 장 그 이상입니다. 브로슈어는 캠페인의 얼굴이자, 기부자에게 가장 먼저 전하는 공식 메시지입니다. 즉, 단체가 어떤 비전을 갖고, 왜 이 캠페인을 시작했으며, 기부자는 어떤 방식으로 함께할 수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주는 공식 소개서입니다. 브로슈어는 단지 정보 전달을 넘어서, 기부자의.. 2025. 4. 22.
모금캠페인 메뉴얼 - 위원회 운영 전략 모금캠페인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필요한 비영리기관 내 위원회 구성과 운영 전략을 소개합니다. 위원회의 조직 유형, 인력 구성, 실행 방법, 운영 평가까지 단계별로 살펴봅니다.들어가며비영리기관에서 모금캠페인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려 할 때, 종종 이런 고민이 생깁니다. “우리 기관엔 이사회도 있고 내부 실무자도 있는데, 왜 캠페인이 제대로 굴러가지 않을까?” 그 이유는 종종 실행력을 담당할 별도의 추진조직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사회는 조직의 전략적 의사결정을 내리는 구조지만, 모금캠페인의 메시지 설계, 기부자 관계, 일정 운영과 같은 실제 실행의 영역까지 감당하기엔 현실적 제약이 많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이사회와는 별도로, 실질적인 실행을 책임지는 위원회(Committee) 조직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 2025. 4. 21.
좋은 모금 조직, 무엇이 다를까요?– CFRE 기준으로 살펴보는 6가지 특징 좋은 모금조직이란 무엇일까요? CFRE 기준을 중심으로 정직성, 전문성, 투명성, 유연성, 공감력, 지속가능성 등 6가지 조건을 정리해 신뢰받는 조직의 기준을 제시합니다. 들어가며모금기관이 기부자에게 신뢰를 주고, 지속적으로 기부금을 유치하며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좋은 조직’으로 보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좋은 조직이란 무엇일까요? 좋은 조직에 대한 기준은 다양할 수 있겠지만 모금기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오늘은 국제 공인 모금 자격인 CFRE(Certified Fund Raising Executive)에서 제시하는 기준을 통해 좋은 모금기관이 갖추어야 할 조건을 함께 살펴보려 합니다. 참고로 CFRE International은 독립된 인증기관으로, AFP, CASE 등 세.. 2025. 4. 20.
모금캠페인 메뉴얼- 네이밍 전략 3가지 모금캠페인의 이름을 어떻게 지어야 할까요? 일관성, 유연성, 흥미성이라는 3가지 기준과 기억에 남는 네이밍 전략을 소개합니다. 들어가며모금캠페인을 기획할 때 가장 먼저 부딪히는 질문, “이 캠페인 이름... 어떻게 지어야 할까?”를 제일 먼저 고민하게 됩니다. 모금캠페인은 단순히 예쁜 단어를 조합하는 걸로 끝나지 않습니다. 이름 하나에 캠페인의 운명이 달려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효과적인 캠페인 네이밍을 위해 기획자가 반드시 고려해야 할 3가지 기준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저도 이 기준으로 우리 기관 모금캠페인을 고민하고 디자인했습니다. 모금캠페인 이름은 어떤 기준으로 검토해볼까 첫번째, 모금캠페인은 일관성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이 일관성은 기관의 비전, 정체성과 맞닿아야 합니다. 캠페인 이름은 .. 2025. 4. 19.
기부 굿즈를 넘어, 기업이 만드는 사회적 굿즈 – 파타고니아, 더벤티의 가치소비 캠페인 들어가며“요즘은 물건을 살 때 의미를 먼저 봐요.” 기부 굿즈는 더 이상 비영리단체의 전유물이 아닙니다. 이제는 브랜드도 사회적 책임과 가치 소비를 핵심 키워드로 내세우며, ‘사회적 굿즈’라는 새로운 형태의 기부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오늘은 기부의 또 다른 모습인 기업의 사회적 굿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사회적 굿즈란?기부 굿즈는 비영리 단체의 캠페인을 중심으로 제작된 물품입니다. 반면 사회적 굿즈는 기업이 주체가 되어 만든 참여형 소비 제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제품은 단순히 소비자에게 물건을 파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제품을 구매하는 행위 자체가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고, 그 안에 담긴 가치와 철학이 소비자에게까지 자연스럽게 전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해, 소비가 곧 기부가 되고.. 2025. 4. 18.
굿즈 하나가 기부를 바꾼다 - 참여와 가치 소비 이야기 기부 굿즈는 단순한 기념품이 아닙니다. 참여의 심리를 자극하고, 공감을 확장하며, MZ세대의 가치소비로 연결되는 따뜻한 매개체입니다. 이 글에서는 기부 굿즈의 이유, 참여 유도 방식, 국내외 사례, 그리고 그 끝에 있는 ‘함께 살아가는 방식’까지 소개합니다.들어가며“기부는 마음인데, 왜 물건을 주죠?”라는 질문을 종종 듣습니다. 하지만 기부 굿즈는 단순한 물건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이는 기부자가 자신이 참여하고 있다는 것을 눈으로 보고, 손으로 느낄 수 있는 ‘공감의 증표’입니다. 기부단체 입장에서는 기부라는 행동을 단순한 전달이 아닌 ‘경험’으로 확장할 수 있는 도구이며, 기부자에게는 “내가 이 일에 함께하고 있어요”라는 자기표현의 수단이자 신념의 공유 방식입니다. 『기부트렌드 2025』에서는 '물.. 2025. 4.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