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께하는 모금

거액 기부자 예우 프로그램, 어떻게 설계해야 할까?

by 성장하는 모모 2025. 4. 12.

📌 왜 예우 프로그램이 중요한가요?

거액기부자는 단순히 ‘큰 금액을 기부한 사람’이 아닙니다.
이들은 조직의 철학과 비전을 함께 지지해주는 전략적 파트너입니다.

그만큼 그들과의 관계는
일회성 감사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진심 어린 예우 로 이어져야 합니다.

환대는 ‘특별 대우’가 아니라, ‘맞춤 존중’입니다.



✨ 거액기부자를 위한 환대 프로그램 5가지 구성 요소


1️⃣ 첫 만남부터 특별하게 – 웰컴 키트 & 감사 인사

  • 손글씨 환영 카드 또는 대표 인사말이 담긴 편지
  • 기관 소개, 활동 브로슈어, 수혜자 메시지 수록
  • 기부자의 이름이 들어간 ‘기념 선물’ 포함 가능

📌 Tip: 첫 기부 직후 1주일 이내에 전달하면 감동 배가!


2️⃣ 전용 콘텐츠 & 리포트 제공

  • 거액기부자 전용 뉴스레터 (연 2~4회)
  • 진행 중인 프로젝트의 현장 리포트
  • 수혜자 인터뷰 영상, 감사 메시지 영상 등

숫자보다 “기부로 변화된 이야기” 중심 콘텐츠 구성이 효과적이에요.


3️⃣ 참여의 기회를 설계하세요

  • 소규모 후원자 간담회, 기획 포럼, 전략회의 초청
  • 프로젝트 현장 방문, 기획안 자문 기회 제공
  • 기부자 클럽 운영 (예: 희망나눔클럽, 1억클럽 등)

💬 “기부자”가 아닌 “의견을 나누는 파트너”로 초대하세요.


4️⃣ 정서적 연결을 위한 ‘한국 문화적 요소’

  • 신년 인사 카드: 새해 첫 메시지에 ‘함께한 변화 요약’ 포함
  • 설날·추석 명절 인사: 손편지 또는 모바일 카드로 감사 인사
  • 생일, 기념일: 전용 메시지, 간단한 소정의 선물 전달

📌 기부자의 문화, 세대, 관심사를 고려한 맞춤형 인사가 효과적입니다.


5️⃣ 이름을 남기는 네이밍 명예 예우

  • 기관 홈페이지 또는 연차보고서에 ‘명예 기부자’ 등재
  • 아너월, 기념 공간 조성 (예: 기부자 나무, 이름 벽 등)
  • 가족 단위 기부자에게는 '유산 기부', '가문 나눔' 콘텐츠 제안

명시 공개 여부는 사전 동의를 받고, ‘익명 예우’도 선택지로 제안하세요.


🛠 실무자를 위한 운영 체크리스트


🎯 기부자 정보 관리 기념일, 관심 분야, 커뮤니케이션 성향을 CRM에 기록
🗣 직원 공감대 형성 조직 전체가 기부자를 ‘함께 기억’하도록 문화화
🔁 피드백 수렴 행사나 콘텐츠에 대한 기부자 의견 정기 수집
🧑‍💼 관계 전담자 운영 기부자별 담당자를 지정해 일관된 관계 유지

🎁 성장하는 모모의 한마디

“거액기부자는 조직을 위해 큰 결정을 내린 사람입니다.”

그 선택이 ‘잘한 결정이었다’고 느끼게 해주는 것이 환대의 핵심이에요.

정성 어린 편지, 맞춤 리포트, 한국적 정서가 담긴 명절 인사까지—
거액기부자의 마음에 남는 건 바로 이런 **‘관계의 온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