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라인 뉴스레터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닙니다
뉴스레터는 기부자와 모금기관 사이의 가장 안정적인 연결 통로입니다.
일회성 기부 이후 소통이 단절되면 기부자는 쉽게 이탈하고,
신뢰도 또한 약화되죠.
- 잘 준비된 뉴스레터는 기관의 활동과 성과를 전달하며 투명성을 확보하고,
- 감동적인 스토리로 후원자의 공감을 이끌며,
- 꾸준한 소통을 통해 ‘일회성 기부’를 ‘지속 후원’으로 전환시킬 수 있죠.
꾸준한 뉴스레터는
기부자 유지율을 높이고,
잠재 기부자의 관심을 행동으로 전환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 뉴스레터 작성 전, 반드시 생각할 것 3가지
체크리스트설명
1. 누가 읽는가? | 기부자(정기/단기), 잠재 기부자, 파트너 등 타깃 분류 |
2. 무엇을 전하고 싶은가? | 정보 전달, 공감 유도, 행동 유도 목적 명확화 |
3.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 정기성 유지(월 1회 등), 톤앤매너 설정, 모바일 최적화 고려 |
🧩 뉴스레터 핵심 구성 요소 (기본 틀)
- 인사말
→ 짧고 따뜻하게, 기관의 목소리를 담아 전달 - 기부금 사용 보고
→ “당신의 기부, 이렇게 쓰였습니다” (수치 + 사례) - 수혜자 이야기/사진
→ 감정적 공감 포인트. 짧은 편지, 후기, 변화 사례 - 진행 중 캠페인 소개
→ 간단한 소개 + 참여 방법 + CTA 버튼 - 다음 뉴스레터 예고 or 이벤트 안내
→ 구독 지속 유도 - 하단 안내
→ 기부금 영수증, 문의처, SNS 링크
🧠 기부자/잠재 기부자별 맞춤 전략
대상콘텐츠 포인트목표
기존 기부자 | 기부금 사용처, 변화 사례 | 관계 유지 + 재참여 유도 |
잠재 기부자 | 기관 철학, 참여 캠페인, 후기 | 신뢰 구축 + 기부 유도 |
✏️ 제목 작성법 (열고 싶게 만들기!)
- “○○님, 당신의 기부가 만든 변화입니다”
- “지금, 우리가 만든 변화 함께 보실래요?”
- “기부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대신 이 이야기만은…”
📣 뉴스레터 발송 시 주의할 점
- 발송 주기: 월 1회 or 격월 (과도한 발송 피하기)
- 발송 도구: Mailchimp, Stibee, 카카오메일 등
- 스팸 필터 회피: 제목에 ‘광고’, ‘클릭’, ‘무료’ 등 자제
- 구독자 관리: 명확한 구독·수신동의 체크
📌 이런 뉴스레터는 피하세요
🚫 기부금 자랑만 가득 → 신뢰감 저하
🚫 내부 행사/회의 중심 소식 → 기부자와 거리감
🚫 이미지 과다/로딩 느림 → 열람률 하락
🚫 ‘감사합니다’만 있고, 변화는 없는 구성
✨ 성장하는 모모의 한마디
기부자는 “감사합니다”라는 말을 듣기보다,
“정말 잘 쓰이고 있다”는 걸 보고 싶어합니다.뉴스레터는 그 마음에 다시 불을 붙이는 작은 불씨예요.
실무자의 진심이 담긴 뉴스레터 한 통이
기부자와의 다음 연결, 그리고 다음 기부로 이어질 수 있어요.
'함께하는 모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액 기부자 예우 프로그램, 어떻게 설계해야 할까? (0) | 2025.04.12 |
---|---|
우리 기관의 거액 기부자는 누구인가요? - 거액 기부자를 전략적으로 정의하는 법- (0) | 2025.04.11 |
함께하는 모금 -당신과 함께 나눈 따뜻한 이야기 20가지 주제 보기 (0) | 2025.04.10 |
함께하는 모금 뉴스레터-모모와 함께 써 볼까요? (0) | 2025.04.10 |
우리 기관의 기부자 페르소나, 직접 만들어보세요 (1) | 2025.04.09 |
기부자도 ‘성격’이 있다 – 페르소나로 시작하는 기부자 이해 (1) | 2025.04.09 |
내가 산 그 커피, 누군가의 장학금이 된다면 – 가치 있는 소비와 기부의 만남 (0) | 2025.04.08 |
기부자도 ‘경험’한다 – 스타벅스 UX에서 배우는 기부자 여정 설계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