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3년, 한국 기부금은 어디까지 왔을까?
2023년 한 해 동안, 한국에서 기부된 총액은 약 16조 원으로, 전년도보다 9천억 원이 증가했습니다. 특히 개인 기부의 꾸준한 증가가 두드러지며, 반면 기업 기부는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 주요 수치 정리
전체 기부금액 | 약 16조 원 | ▲ 0.9조 원 |
개인 기부금 | 약 11.5조 원 | ▲ 0.8조 원 |
기업 기부금 | 약 4.5조 원 | 실질 감소 (물가 상승 반영 시) |
🎯 포인트: 팬데믹 이후에도 개인의 기부는 늘고, 기업은 신중해졌습니다.
🌍 세계 기부 지수(World Giving Index) 2023에서 본 글로벌 기부 동향
**Charities Aid Foundation(CAF)**에서 발표한 세계 기부 지수 2023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기부 문화에 흥미로운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 상위 10개 국가
- 인도네시아
- 우크라이나
- 케냐
- 라이베리아
- 미국
- 미얀마
- 쿠웨이트
- 캐나다
- 나이지리아
- 뉴질랜드
특히, 인도네시아는 7년 연속 1위를 차지하며 90%의 국민이 기부에 참여하고, 65%가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등 높은 참여율을 보였습니다.
참고로 한국은 2023년에는 79위, 2024년에는 88위로 낮은 순위입니다.
한국의 사회문화적 요소를 고려해 볼 수는 있으나 우리의 경제수준에 비해 기부지수가 낮은 편입니다.
📌 참고: 세계 기부 지수는 낯선 사람 돕기, 기부금 기부, 자원봉사 참여의 세 가지 지표를 기반으로 산정됩니다.
🌐 2025년 기부 트렌드는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
전 세계적으로 기부 문화는 변화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기부’가 아닌, 참여형·디지털 기반·성과 중심의 기부로 이동 중입니다.
🔍 2025년 주요 기부 트렌드
- 체험형 기부의 확산
- 마라톤, 걷기 캠페인, 봉사활동 등 참여 유도형 기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실제 사례: **'2025 릴레이플로깅챌린지'**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캠페인의 일환으로, 임직원과 지역주민이 함께 환경정화 활동을 하며 기부에 참여하는 행사입니다.
- 구독형 기부 서비스
- 자동 이체를 통한 정기 후원으로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기부모델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 디지털 기부 플랫폼의 성장
- 모바일 결제, 소셜 미디어 캠페인, QR코드 기부 등 온라인 기반 기부가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 기부 성과의 투명성 요구 증가
- 기부금 사용 내역과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신뢰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Z세대·밀레니얼 세대의 기부 주도
- 사회적 가치와 이슈에 기반한 기부를 선호하며, 환경, 인권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 한국의 흐름과 세계 동향의 비교
- 개인기부 증가: 한국의 개인기부 증가는 세계적인 흐름과 일치하며, 특히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기부가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 기업기부 감소: 기업기부의 감소는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업-대학 간 전략적 파트너십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 디지털 기부 전환: 모바일과 온라인을 통한 기부는 전 세계적인 추세로, 한국에서도 이러한 방식의 기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성장하는 모모의 생각
우리는 지금 ‘기부의 재정의’ 시점에 서 있습니다.
기부는 더 이상 단순한 도네이션이 아니라, 참여하고, 측정하며,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이 되었습니다.
특히 대학처럼 **‘미래를 만드는 공간’**은 개인기부자와 기업 모두에게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되어야 합니다.
트렌드를 읽는다는 것은, 더 나은 기부문화를 설계하는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
'함께하는 모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산 그 커피, 누군가의 장학금이 된다면 – 가치 있는 소비와 기부의 만남 (0) | 2025.04.08 |
---|---|
기부자도 ‘경험’한다 – 스타벅스 UX에서 배우는 기부자 여정 설계 (0) | 2025.04.08 |
기부자의 마음을 여는 소통 – 임팩트 평가로 신뢰를 쌓다 (0) | 2025.04.07 |
기부자는 변화를 느끼고 싶다 – 자기효능감에서 시작하는 기부의 심리 (0) | 2025.04.07 |
🔖대학기부와 효과적인 필란트로피 – 지속 가능한 공익의 전략 (3) | 2025.04.06 |
💬 기부리터러시란? – 기부자와 연결되는 진짜 소통의 시작 (0) | 2025.04.06 |
🎯 기부자 데이터베이스, 왜 그리고 어떻게 관리할까? (3) | 2025.04.06 |
🎓 대학 기부자(발전기금) 보도자료 작성 가이드 (0)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