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함께하는 모금

2025년 기부 트렌드와 한국 기부금의 흐름 –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을까?

by 성장하는 모모 2025. 4. 6.

📊 2023년, 한국 기부금은 어디까지 왔을까?

2023년 한 해 동안, 한국에서 기부된 총액은 약 16조 원으로, 전년도보다 9천억 원이 증가했습니다. 특히 개인 기부의 꾸준한 증가가 두드러지며, 반면 기업 기부는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 주요 수치 정리

구분금액 (2023년 기준)증감
전체 기부금액 약 16조 원 ▲ 0.9조 원
개인 기부금 약 11.5조 원 ▲ 0.8조 원
기업 기부금 약 4.5조 원 실질 감소 (물가 상승 반영 시)

🎯 포인트: 팬데믹 이후에도 개인의 기부는 늘고, 기업은 신중해졌습니다.


🌍 세계 기부 지수(World Giving Index) 2023에서 본 글로벌 기부 동향

**Charities Aid Foundation(CAF)**에서 발표한 세계 기부 지수 2023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기부 문화에 흥미로운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 상위 10개 국가

  1. 인도네시아
  2. 우크라이나
  3. 케냐
  4. 라이베리아
  5. 미국
  6. 미얀마
  7. 쿠웨이트
  8. 캐나다
  9. 나이지리아
  10. 뉴질랜드

특히, 인도네시아는 7년 연속 1위를 차지하며 90%의 국민이 기부에 참여하고, 65%가 자원봉사에 참여하는 등 높은 참여율을 보였습니다.

세계기부지수는 전세계의 기부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참고로 한국은 2023년에는 79위, 2024년에는 88위로 낮은 순위입니다.

한국의 사회문화적 요소를 고려해 볼 수는 있으나 우리의 경제수준에 비해 기부지수가 낮은 편입니다.

📌 참고: 세계 기부 지수는 낯선 사람 돕기, 기부금 기부, 자원봉사 참여의 세 가지 지표를 기반으로 산정됩니다.


🌐 2025년 기부 트렌드는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

전 세계적으로 기부 문화는 변화하고 있습니다. 단순한 ‘기부’가 아닌, 참여형·디지털 기반·성과 중심의 기부로 이동 중입니다.

🔍 2025년 주요 기부 트렌드

  1. 체험형 기부의 확산
    • 마라톤, 걷기 캠페인, 봉사활동 등 참여 유도형 기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실제 사례: **'2025 릴레이플로깅챌린지'**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캠페인의 일환으로, 임직원과 지역주민이 함께 환경정화 활동을 하며 기부에 참여하는 행사입니다.
  2. 구독형 기부 서비스
    • 자동 이체를 통한 정기 후원으로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기부모델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3. 디지털 기부 플랫폼의 성장
    • 모바일 결제, 소셜 미디어 캠페인, QR코드 기부 등 온라인 기반 기부가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4. 기부 성과의 투명성 요구 증가
    • 기부금 사용 내역과 결과를 투명하게 공개하여 신뢰성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5. Z세대·밀레니얼 세대의 기부 주도
    • 사회적 가치와 이슈에 기반한 기부를 선호하며, 환경, 인권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 한국의 흐름과 세계 동향의 비교

  • 개인기부 증가: 한국의 개인기부 증가는 세계적인 흐름과 일치하며, 특히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기부가 활성화되고 있습니다.
  • 기업기부 감소: 기업기부의 감소는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를 보완하기 위한 기업-대학 간 전략적 파트너십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 디지털 기부 전환: 모바일과 온라인을 통한 기부는 전 세계적인 추세로, 한국에서도 이러한 방식의 기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 성장하는 모모의 생각

우리는 지금 ‘기부의 재정의’ 시점에 서 있습니다.
기부는 더 이상 단순한 도네이션이 아니라, 참여하고, 측정하며,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이 되었습니다.
특히 대학처럼 **‘미래를 만드는 공간’**은 개인기부자와 기업 모두에게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되어야 합니다.
트렌드를 읽는다는 것은, 더 나은 기부문화를 설계하는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